외부 셧다운포트는 8005가 불문율

 

서버가 켜진상태로 접속해보면

http://localhost:8000/

실제 주소는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Tomcat 8.5\webapps\ROOT

 

 

 

'Web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블릿(Servlet)과 JSP  (0) 2020.05.25
200525  (0) 2020.05.25
JSP 200522  (0) 2020.05.22
JSP + 자바스크립트 + 자바로 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 받아오기  (0) 2020.05.19
Ajax 란  (0) 2020.05.19

톰캣 - jsp를 컴파일 한다

아파치 - html 웹서버다

 

아파치가 jsp파일을 확인하면 톰캣에 컴파일 요청을하고

톰캣은 jsp를 컴파일 해서 아파치에게 넘겨준다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MVC패턴 프로젝트 구성  (0) 2020.05.28
필기요약  (0) 2020.05.25
리눅스 설치  (0) 2020.05.22
쿠키런 피피티 깃헙  (0) 2020.05.21
md 파일 작성하는 법  (0) 2020.05.21

워크스페이스 변경

 

 

 

utf-8로 인코딩

 

 

 

소스폴더와 클래스 폴더 위치 설정

 

인터넷 주소에서 구조를 숨길때 context root를 사용한다 (가짜이름으로 진짜 폴더나 주소를 숨긴다)

ex) http:111.0.0.0/실제폴더명/a.png -> http:111.0.0.0/test/a.png

http://localhost:포트/test/a.png 

= jspwork/test/WebContent/a.png

 

외부에서 누구나 접속할 수 있는 폴더는 WebContent 뿐이다

(서블릿을 이용하면 src 에도 접근할 수 있다고 한다.)

WebContent를 통해서 나머지 폴더 자료에 접근해야한다.

 

프로젝트 환경(모양)을 바꿔준다

 

톰캣 설치

실제 주소는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Tomcat 8.5\webapps\ROOT

이며

index.jsp가 실행된다

(wellcome file list)

 

웹브라우저로  jsp를 열려고하면 열리지 않고 코드가 나오거나 다운로드 된다.

웹브라우저는 html파일만 읽을 수 있으며, jsp파일은 자바에서 컴파일해서 웹브라우저로 보내주게 된다.

 

프로젝트 우클릭

new 누른다

 

해당주소가 웹서버가 아니라 주소를 감싸고 있는 워크스페이스가 웹서버가 된다 = jspwork

 

 

index.html 파일 하나 만들고

 

'Web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525  (0) 2020.05.25
톰캣 설치  (0) 2020.05.22
JSP + 자바스크립트 + 자바로 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 받아오기  (0) 2020.05.19
Ajax 란  (0) 2020.05.19
자바스크립트의 역할  (1) 2020.05.19

리눅스 배우는 순서

1. 설치
-> 프로그램 자료가 들어가는 폴더가 기능별로 퍼져있음
-> 설치방법

2. 권한

3. 서버 세팅

4. git

--------------------------

shell

---------------------------

apt-update - 리스트를 본다

----------------------------

카카오 저장소 - 미러사이트

------------------------

자바는 main인데

jsp는 런타임 주도권을 톰캣 등의 서버에게 빼앗긴다

-----------------------------

프레임워크

1. main(실행)에 대한 주도권을 빼앗긴다면 프레임워크다

2. 어떤 틀 안에서 일하는 것

응용 sw 기초기술 활용

 

제어판에서 Linux관련 기능을 켠다

 

재부팅

 

윈도우 스토어 접속

 

우분투 검색 ubuntu

 

로그인 화면이 나오지만 취소하면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완료되면 실행한다

 

 

 

우분투를 켜면 설치하는데 몇분정도 소요된다

 

 

유저이름을 치라고 나온다

 

원하는 이름을 치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완료된다

 

 

pwd와 같은 명령어를 쉘 명령어라고한다.

pwd는 현재 폴더를 나타낸다.

 

/ <- 맨 왼쪽의 슬래시는 루트폴더의 주소이다.

/home/ubuntu -> 루트 아래 home폴더 아래 ubuntu

 

윗단계 디렉토리로 이동

 

ls는 폴더의 내용을 출력해준다

 

루트폴더의 내용

 

윈도우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하나의 폴더에 다 들어가게 되는데

리눅스는 프로그램의 기능별로 나뉘어져서 해당 폴더에 분산되어 저장된다.

bin은 실행파일이 모여있는 곳

lib는 라이브러리가 모여있는 곳

 

 

화면 클리어

 

루트권한을 대행 받음

 

검색하기

 

jdk 18이 없다

 

리스트를 다시 불러온다(파일을 받아오는게 아니라 파일의 리스트를 받아온다)

 

jdk 설치

 

다운속도가 느리다면 저장소를 바꾸자

 

권한이 없어서 수정이 안된다

 

sudo를 붙여본다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기요약  (0) 2020.05.25
아파치와 톰캣  (0) 2020.05.22
쿠키런 피피티 깃헙  (0) 2020.05.21
md 파일 작성하는 법  (0) 2020.05.21
동기화의 의미  (0) 2020.05.15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치와 톰캣  (0) 2020.05.22
리눅스 설치  (0) 2020.05.22
md 파일 작성하는 법  (0) 2020.05.21
동기화의 의미  (0) 2020.05.15
200513  (0) 2020.05.13

# 은 헤드라인이다

하나는 h1 두개는 h2 식이다

 

코드를 넣을 때에는

```sql

코드

```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설치  (0) 2020.05.22
쿠키런 피피티 깃헙  (0) 2020.05.21
동기화의 의미  (0) 2020.05.15
200513  (0) 2020.05.13
괜찮은 출판사, 책  (0) 2020.05.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