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 지정자
public : 공용 ( 다른패키지 등 어디에서든지 접근 가능)
default : 같은 패키지에서만 접근 가능
private : 같은 클래스 안에서만 접근 가능 (게터 세터 등의 메서드로 접근)
protected : 같은 클래스나 자식 클래스에서만 찾을 수 있다 (상속을 받아야만 사용 가능)
----------------------------------
package는 꼭붙이자
-----------------------------------
반도체는 시그널을 받을 수 있다
같은 신호가 동시에 오면 1이 한번온건지 두번온건지구분이 안되기때문에
보레이트(시간쪼개기)를 이용해서 몇번 온지 확인
-----------------------------------
스트림 - 데이터를 입출력 할 때 시간으로 쪼개서 받는다
스트림은 단방향으로만 갈 수 있다
스트림은 논리적인 길(물리적인 노드가 바쁠 수 있기 때문에) 돌아서 갈 수 있다
순서가 꼬일 수 있다 -> 그것을 잡아 주는 것이 헤더
------------------------------------
버퍼 - 작업 리스트
버퍼가 꽉차면 추가 리스트가 들어오는것을 기다리는 것이 버퍼링
버퍼는 꽉차면 보내진다 (자동 flush)
수동으로도 보낼 수 있다(꽉차지 않아도 보낼 수 있음)
-----------------------------------
헤더
------------------------------------
통신 공용어 JSON
-------------------------------------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410 (0) | 2020.04.10 |
---|---|
200407 // 웹서버, OSI 7계층, L4장비, 서킷 패킷 스위칭, 사설아이피, 공공데이터 (0) | 2020.04.07 |
트렐로 trello (0) | 2020.03.23 |
200320 (0) | 2020.03.20 |
200319 (0) | 2020.03.19 |